강남구 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남구 갑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었다. 신설 이후 선거구역 조정과 분구를 거쳐 현재는 신사동, 논현1·2동, 압구정동, 청담동, 역삼1·2동을 관할한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황병태, 김동길, 서상목, 최병렬, 이종구, 심윤조, 태영호, 서명옥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강남구의 정치 - 강남구 병
강남구 병은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된 선거구로, 삼성1동, 삼성2동, 도곡1동, 도곡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4동을 관할하며 보수 정당이 의석을 유지하고 있다. - 서울 강남구의 정치 - 강남구 을
강남구 을은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선거구 획정 과정에서 관할 지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개포동, 일원동, 수서동, 세곡동을 관할하고, 다양한 정당의 국회의원들이 당선되어 강남 지역의 정치적 성향 변화를 보여준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종로구 (1988년 선거구)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종로구는 소선거구제 시행으로 단독 선거구로 치러졌으며, 민주정의당 이종찬 후보가 당선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강남구 갑 | |
---|---|
대한민국 선거구 정보 | |
이름 | 강남구 갑 |
의회 | 국회 |
큰지도 | 서울특별시 |
연도 | 1988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강남구 |
이후 선거구 | 강남구 병 (2016년 분리) |
의원 | 서명옥 |
정당 | 국민의힘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강남구 갑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당시 신사동, 논현동, 학동, 압구정동, 청담동, 역삼1동, 역삼2동은 강남구 갑에, 삼성1동, 삼성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3동, 개포1동, 개포2동, 개포3동, 전곡동, 일원동은 강남구 을에 속했다.
1989년 서초구 도곡동이 강남구로 편입되면서,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강남구 갑에 포함되었다.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강남구 을의 삼성동이 강남구 갑으로 편입되었다.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강남구 갑과 을의 인구 과다로 강남구 병이 신설되었고, 강남구 갑에 속했던 삼성동과 도곡동이 강남구 병으로 이동했다.
2. 1. 선거구 신설 및 초기 역사 (1988년 ~ 1996년)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강남구 갑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신사동, 논현동, 학동, 압구정동, 청담동, 역삼1동, 역삼2동이 강남구 갑으로 묶였다.1989년 서초구 도곡동이 강남구로 편입되었다. 이에 따라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도곡동이 강남구 갑에 포함되었다.
2. 2. 선거구역 조정 (1996년 ~ 현재)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강남구 을의 삼성동이 강남구 갑으로 넘어왔다.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강남구 갑과 을의 인구가 선거법에 명시된 인구 상한선을 초과함에 따라 강남구 병이 신설되었다. 이로 인해 강남구 갑에 속했던 삼성동과 도곡동이 강남구 병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3. 관할 구역
대수 | 관할 구역 |
---|---|
13대 | 강남구 신사동, 논현동, 학동, 압구정동, 청담동, 역삼1동, 역삼2동 |
14대 | 강남구 신사동, 논현동, 학동, 압구정1동, 압구정2동, 청담1동, 청담2동, 역삼1동, 역삼2동, 도곡1동, 도곡2동 |
15대 ~ 18대 | 강남구 신사동, 논현1동, 논현2동, 압구정1동, 압구정2동, 청담1동, 청담2동, 삼성1동, 삼성2동, 역삼1동, 역삼2동, 도곡1동, 도곡2동 |
19대 | 강남구 신사동, 논현1동, 논현2동, 압구정동, 청담동, 삼성1동, 삼성2동, 역삼1동, 역삼2동, 도곡1동, 도곡2동 |
20대 ~ 현재 | 강남구 신사동, 논현1동, 논현2동, 압구정동, 청담동, 역삼1동, 역삼2동 |
4. 역대 국회의원
선거 | 정당 | 의원 | |
---|---|---|---|
1988년 | 통일민주당 | 황병태 | |
1992년 | 통일국민당 | 김동길 | |
1996년 | 신한국당 | 서상목 | |
2000년 | 한나라당 | 최병렬 | |
2004년 | 한나라당 | 이종구 | |
2008년 | 한나라당 | 이종구 | |
2012년 | 새누리당 | 심윤조 | |
2016년 | 새누리당 | 이종구 | |
2020년 | 미래통합당 | 태구민 | |
2024년 | 국민의힘 | 서명옥 |
5. 역대 선거 결과
제13대 총선부터 제22대 총선까지 강남구 갑에서 치러진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명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제13대 총선 | 통일민주당 | 황병태 | 24,850 | 27.03 |
제14대 총선 | 통일국민당 | 김동길 | 54,568 | 46.10 |
제15대 총선 | 신한국당 | 서상목 | 43,437 | 38.13 |
제16대 총선 | 한나라당 | 최병렬 | 62,489 | 56.46 |
제17대 총선 | 한나라당 | 이종구 | 76,601 | 62.99 |
제18대 총선 | 한나라당 | 이종구 | 61,047 | 64.90 |
제19대 총선 | 새누리당 | 심윤조 | 82,582 | 65.32 |
제20대 총선 | 새누리당 | 이종구 | 44,682 | 54.81 |
제21대 총선 | 미래통합당 | 태구민 | 60,324 | 58.40 |
제22대 총선 | 국민의힘 | 서명옥 | 60,549 | 64.18 |
5. 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1988년)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황병태 후보가 27.0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신민주공화당 최재구 후보는 21.41%, 민주정의당 정희경 후보는 17.89%, 평화민주당 김경재 후보는 17.88%를 득표했다. 무소속 장기욱 후보는 12.54%를 얻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통일민주당 | 황병태 | 24,850 | 27.03% |
신민주공화당 | 최재구 | 19,681 | 21.41% |
민주정의당 | 정희경 | 16,448 | 17.89% |
평화민주당 | 김경재 | 16,438 | 17.88% |
무소속 | 장기욱 | 11,528 | 12.54% |
우리정의당 | 김상철 | 2,720 | 2.95% |
한국국민당 | 강봉수 | 248 | 0.26% |
총 득표수 | 91,913 |
5. 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의 서울특별시 강남구 갑 선거구에서는 총 163,297명의 유권자 중 118,351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통일국민당 김동길 후보가 54,568표(46.10%)를 얻어 당선되었다. 민주자유당 황병태 후보는 35,907표(30.33%), 민주당1991 이중재 후보는 27,876표(23.55%)를 득표했다.
5. 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1996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서상목 | 신한국당 | 43,437 | 38.13 |
홍성우 | 통합민주당1995 | 23,465 | 20.60 |
강동연 | 새정치국민회의 | 21,385 | 18.77 |
노재봉 | 무소속 | 16,232 | 14.25 |
김명년 | 자유민주연합 | 8,041 | 7.05 |
김종영 | 무소속 | 698 | 0.61 |
성명선 | 무소속 | 373 | 0.32 |
이경태 | 무소속 | 271 | 0.23 |
합계 | 113,902 | 100.00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서상목 후보가 38.1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통합민주당1995 홍성우 후보는 20.60%, 새정치국민회의 강동연 후보는 18.77%를 득표했다.
5. 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강남구 갑 선거구에서 한나라당 최병렬 후보가 56.4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새천년민주당 전성철 후보는 36.82%로 2위, 자유민주연합 김명년 후보는 3.08%를 득표했다. 청년진보당 박윤기 후보(1.91%), 무소속 김종영 후보(0.90%), 민주국민당2000 정현우 후보(0.80%)가 뒤를 이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한나라당 | 최병렬 | 62,489 | 56.46 |
새천년민주당 | 전성철 | 40,752 | 36.82 |
자유민주연합 | 김명년 | 3,413 | 3.08 |
청년진보당 | 박윤기 | 2,124 | 1.91 |
무소속 | 김종영 | 1,001 | 0.90 |
민주국민당2000 | 정현우 | 887 | 0.80 |
5. 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종구 후보가 62.9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열린우리당 박철용 후보는 30.84%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고, 민주노동당 차봉천 후보는 2.80%를 득표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종구 | 한나라당 | 76,601 | 62.99% |
박철용 | 열린우리당 | 37,504 | 30.84% |
차봉천 | 민주노동당 | 3,405 | 2.80% |
서상록 | 노년권익보호당 | 2,481 | 2.04% |
나용집 | 한국기독당 | 922 | 0.75% |
전경수 | 무소속 | 688 | 0.56% |
합계 | 121,601 | 100% |
5. 6.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종구 후보가 64.90%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재선에 성공했다. 통합민주당 김성욱 후보는 18.34%, 무소속 서상목 후보는 13.17%를 득표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종구 | 한나라당 | 61,047 | 64.90 |
김성욱 | 통합민주당 | 17,251 | 18.34 |
서상목 | 무소속 | 12,389 | 13.17 |
김원종 | 무소속 | 1,782 | 1.89 |
엄원태 | 평화통일가정당 | 829 | 0.88 |
권헌성 | 무소속 | 531 | 0.56 |
박부서 | 무소속 | 222 | 0.23 |
5. 7.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심윤조 후보가 65.3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통합당 김성욱 후보는 32.83%, 무소속 권헌성 후보는 1.33%, 국민행복당2011 서영신 후보는 0.49%를 득표하였다.
5. 8.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강남구 갑 선거구에서 새누리당 이종구 후보가 54.8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김성곤 후보는 45.18%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5. 9.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2020년)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강남구 갑 선거구에서는 미래통합당 태구민 후보가 58.4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김성곤 후보는 39.63%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했다. 민생당 정동희 후보는 1.33%, 국가혁명배당금당 김정훈 후보는 0.62%를 득표했다.
5. 10.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2024년)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강남구 갑 선거구에서 국민의힘 서명옥 후보가 64.1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김태형 후보는 35.81%를 득표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